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pringBoot] Lombok을 써보자

Lombok
1. Lombok은 무엇을 하는가?
  - Java 개발을 하다 보면 class 변수에 따라 Getter/Setter/toString() 메서드를 일일히 작성해야 했다.
  - Lombok은 이러한 것을 단순 자동화 함으로써 개발 시간을 단축 시켜 주었다.
  - 즉 Lombok 라이브러리는 Java코드를 컴파일 할 떄 자동으로 추가 메소드를 만들어 컴파일 해주는 라이브러리다.

2. 사전 작업
  -  롬복을 사용하기 위해선 우선 롬복 설치 후 해당 IDE에 적용을 시켜 줘야 한다.
  -  자세한 사항은 'Eclipse 롬복 설치 / Intellij 롬복 설치'라고 검색하면 친절한 블로거님들이 잘 설명해 놓았다.

3. Lombok의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이 여러가지 있지만 그 중 자주 사용하는 것을 정리해 보겠다.
  - @NonNull : Null 값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시.
  - @Getter/@Setter : Getter / Setter 메서드를 자동 생성한다.
  - @ToString : toString() 메서드를 생성한다.
  - @EqualsAndHashCode : eqals()와  hashCode() 메서드를 생성한다.
  - @Synchronized : 메서드에 동기화를 설정한다.

4. Lombok을 사용해 보자
package com.example.sutdy.domain;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lombok.ToString;

@Getter
@Setter
@ToString
public class vo1 {
    private String val1;
    private int n;
    private boolean b;
}

 위를 보면 getter / setter / toString() 메서드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이것이 잘 동작 하는지 보자.
package com.example.sutdy.controller;

import com.example.sutdy.domain.Vo1;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V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world";
    }

    @GetMapping("/sample")
    public Vo1 makeVo() {
        Vo1 vo = new Vo1();
        vo.setVal1("val1");
        vo.setB(true);
        vo.setN(101);

        System.out.println(vo);

        return vo;
    }
}


서버 실행 후 localhost:8080/sample 로 들어가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보이는 것일 알 수 있다.

 cf) @RestController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Controller를 붙이면 JSP나 HTML 뷰를 호출하는데, @RestController를 붙이면 뷰를 활용하지 않고 문자열 데이터를 브라우저로 전송한다. 그래서 위 처럼 문자열이 보이는 것이다. restfulApi 이용되기도 하는데 나중에 포스팅 하기로 하겠다.

여기 까지 롬복에 대해 알아보았다. 롬복 사용은 호불호가 갈린다고 하는데, 나는 일단 사용하기 편하니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ㅎ

그럼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량주] 라오왕 연태고량주 플러스

나에게 처음 고량주란 이런것이다 라는걸 알려준 녀석이다. 부모님이 중국집을 하다 보니 가끔 초록색병 고량주를 먹었을때  역한 공업용 알콜 맛에 고량주는 나랑 안맞는다 생각했다가 우연히 양고기에 이녀석을 접한 뒤로 고량주의 맛을 알아버렸다... 제품명 : 라오왕 연태고량주플러스 제품유형 : 일반증류주 도수 : 34.2% 가격 : 9000원(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기준) 재구매 의사 : 있다 시음평 : 역시 고량주 특유의 향인데, 열대과일 향도나고, 배향, 살짝 달달한 향이 난다.            목넘김은 34.2%에도 불구하고 그리 힘들지 않았다(주당이 된걸수도..)             중국요리나 양꼬치집에서 맛있는 술이 땡긴다면 강력추천한다.

윈도우 트랙패드로 데트스탑화면 전환

코딩 작업용으로 맥북 트랙패드 사용하다 윈도우에서 마우스 없이 트랙패드로만 사용하려니 이것저것 만지다가 새로운 기능을 발견했다. 1. 새로운 데스크 탑을 만드는 2가지 방법   1) 바탕화면에서 'ctrl' + '윈도우' + 'd'      - 세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새로운 데스크톱 화면이 생성된다.      2) 트랙패드에서 손가락 세개를 사용해 위 방향으로 스크롤      -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우측 하단에 '새 데스크톱'을 클릭하면 추가가 된다. 2. 트랙패드로 데스크톱 화면을 이동하는 2가지 방법   1) 'ctrl' + '윈도우' + 방향버튼(<-(좌) , ->(우))     - 위 버튼을 누르게 되면 데스크톱 화면이 전환이 된다.   2) 트랙패드에서 손가락 네개를 이용해 좌우로 이동     - 위와 같이 데스크톱 화면이 전환이 된다.   3) 세손가락으로 화면 전환은 안될까??     - 곰손인 내가 아기자기한 씽크패드13 같은 트랙패드가 작은 것에서 손가락 4개로 화면전환은 불편함이 있다.😥     -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으로 데스크톱 화면을 전환 할 수 있다.       1>'윈도우키' --> '설정'  --> '장치' --> '트랙패드' --> '세손가락제스처'     - 손가락 제스처 콤보박스를  '바탕화면 전환 및 바탕화면 표시' 로 바꿔주면 손가락 세개로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면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속설(??)이 있어서 최근 마우스를 사용하려 하지 않으려고 한다. 윈도우에서도 이런 꿀팁을 발견하게 되어 개발에 한층 더 집중 할...

[스프링부트2.0 낚시게시판] 01.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을 세팅해 보자

첫번째.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 빠밤! 1. 이클립스 실행하고 프로젝트 생성하기  - 이클립스 실행 후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클릭 ( 부트는 Spring Starter Project로!! )        해당 프로젝트 설정을 본인의 입맛에 맞게? 해주자. 처음엔 저와 똑같이 하는게 삽질(?)의 노고를 덜 수 있으니 저 같은 초보 개발자 분들이나 이제 막 공부를 시작 하셧다면 위와 가이 설정 하는걸 추천.  - New Spring Starter Project Dependencies    - Spring Boot Version : 2.0.2    - Core : DevTools, Security, Lombok 클릭    - Web : web  클릭    - SQL : JPA, H2 클릭    - template Engines : Mstache   --> 타임리프(요즘 회사에서 많이 쓴다고해서)   - 그다음 다음 -> Finish 클릭하게 되면 Maven에 관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처음엔 메이븐 디펜던시부분을 받느라 시간이 걸릴수 있다. 프로젝트 구조는 스프링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프로젝트 구조 관련해선 조만간 포스팅 해봐야 겠다. (요즘 책 읽을 시간도 없어서...😂) 두번째. 실행을 해보자.  스프링 부트2.0의 특징은 자체적으로 톰켓이 내장 되어 있어 따로 톰켓을 설정하는 부분이 없어서 아주 매우 편안하게 되었다.    - 실행은 src/main/java 밑에 com.fishing.board 패키지 밑에 FishBoardApplication.java 오른쪽 클릭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