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Java] 제네릭(generic)을 알아보자

제네릭(generic)
 C++에 템플릿이 있다면 Java엔 제네릭이란 객체 상용구 생성을 최소화 하기 위한 문법이 있다. 그럼 제네릭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1. 제네릭을 왜 사용하는가?
  - 제네릭을 사용하면 다음 장점 들이 있다.
    1) 컴파일 시 강한 타입 체크가 가능하다
      - 컴파일 시 미리 타입을 체크해 코드에서 잘 못 사용된 타입이 발생하는걸 막는다.
    2) 타입 변환을 제거한다.
      - 제네릭을 쓰지 않으면, 읽기/쓰기 시 형변환이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
      - 이는 성능상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제네릭을 사용하면 형변환 없이 사용가능해진다.

2. 제네릭 타입
  - 제네릭 타입은 타입을 파라미터로 가지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 이름 뒤에 '<>'가 붙고 사이에 파라미터가 위치한다.
    package generics;

public class Box {
    private T t;
    public T get() {
        return t;
    }
    public void set(T t) {
        this.t = t;
    }
}


package generics;


public class BoxEx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x box = new Box<>();
        box.set("hello");
        String str = box.get();

        System.out.println(str);
    }
}


3. 제네릭의 제한
  - static 멤버 타입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제네릭은 인스턴스 변수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 static 멤버는 메서드에 지네릭 타입을 선언하고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 메서드 지네릭 타입 배열은 허용을 안해서 Object로 바꿔주는 작업을 해야한다.

4. 멀티 타입 파리미터
  - 두개 이상 멀티 타입은 파리미터를 쉼표로 구분한다.
  - class<K,V,...>,   interface<K,V,...>

package generics;

import OOP2.TVCR;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T kind;
    private M model;

    public T getKind() {return this.kind;}
    public M getModel() {return this.model;}

    public void setKind(T kind) {
        this.kind = kind;
    }

    public void setModel(M model) {
        this.model = mode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Kind(new TVCR());
        product.setModel("TVCR");

        TVCR tvcr = product.getKind();
        String model = product.getModel();
    }
}

5. 제네릭 메서드
  - 제네릭 메서드는 매개 타입과 리턴 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갖는 메서드다.
  - 리턴타입 앞에 '<>'를 추가하고, 타입 파라미터를 기술한 다음, 리턴 타입과 매개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된다.

package generics;

public class Util {
    public static<T>  Box<T> boxing(T t) {
        Box<T> box = new Box<>();
        box.set(t);
        return box;
    }

    public static<T exends Number> int compare(T t1, T t2) {
        double v1 = t1.doubleValue();
        double v2 = t2.doubleValue();

        return Double.compare(v1, v2);
    }
}

6.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 <T extends 최상위 타입>
  -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선언하려면 타입 파라미터 뒤에 extends 키워드 붙이고 상위 타입을 명시하자.
  - 클래스, 인터페이스 모두 extends 붙인다.
  - 특정 타입 자손들만 대입할 수 있게 제한할 수 있다.

7. 와일드카드 타입
  - 코드에서 '?'를 일반적으로 와일드 카드라 부른다.
  - 오버로딩 중 제네릭 타입이 다른 것만으론 오버로딩이 성립하지 않는다.
  - 그래서 고안된 것이 와일드 카드이다.
  - 다음 3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1) 제네릭 타입<?> :
      - 타입 파라미터를 대치하는 구체적타입.
      - <?>는 <? extends Object>로 줄여 쓴 것이다.
    2) 제네릭타입<? extends 상위타입>
      - 타입 파라미터를 대치하는 구체적 타입으로 상위 타입이나 하위 타입만 올 수 있다.
    3) 제네릭타입<? super 하위타입>
      - 타입 파라미터를 대치하는 구체적인 타입으로 하위 타입이나 상위타입이 올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printAll(ArrayList list, ArrayList list2) {
   for(Unit u : list) {
       System.out.println(u);
   }
}

public static  void printAll(ArrayList list,ArrayList list2) {
   for(Unit u : list) {
       System.out.println(u);
   }
}

8. 제네릭 타입의 상속과 구현
  - 지네릭과 넌 지네릭 사이 형변환은 가능하지만 경고가 발생한다.
  - 대입된 타입간 형변호나은 되지 않는다.
Box<Object> obj = null;
Box<String> str  = null;
obj = (Box<Object>) str;  // 에러…


Box<?> wbox = new Box<Object>();

Box<String> sbox = (Box<String>)wbox; //  가능

  - Box<? extends Object> wBox = new Box<String>();은 된다.
  - 다형성이 적용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제네릭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제 사용하고 있는 정도는 함수선언시 매개 변수로 형을 지정하는 정도 밖에 안되는데 많은 기능을 이해 하려면 다양한 예제들도 한번 찾아 보아야 겠다.

ps. 구글 블로그에서 '<>' 이 부분이 HTML 적용되는것 같아서 코드가 제대로 표현이 안됬다. 자세한 코드 내용은 https://github.com/jinioh88/Java/tree/master/src/main/java/generics  요기 참고하길
그럼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량주] 라오왕 연태고량주 플러스

나에게 처음 고량주란 이런것이다 라는걸 알려준 녀석이다. 부모님이 중국집을 하다 보니 가끔 초록색병 고량주를 먹었을때  역한 공업용 알콜 맛에 고량주는 나랑 안맞는다 생각했다가 우연히 양고기에 이녀석을 접한 뒤로 고량주의 맛을 알아버렸다... 제품명 : 라오왕 연태고량주플러스 제품유형 : 일반증류주 도수 : 34.2% 가격 : 9000원(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기준) 재구매 의사 : 있다 시음평 : 역시 고량주 특유의 향인데, 열대과일 향도나고, 배향, 살짝 달달한 향이 난다.            목넘김은 34.2%에도 불구하고 그리 힘들지 않았다(주당이 된걸수도..)             중국요리나 양꼬치집에서 맛있는 술이 땡긴다면 강력추천한다.

[자바 웹 프로그래밍]2장 문자열 계산기 구현을 통한 테스트와 리펙토링

이번엔 2장에 나와 있는 내용 정리와 느낀점을 정리 해 보겠다. 1. main() 메소드를 활용한 테스트의 문제점.   - 소스코드 구현 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위해 일반적인 방법은 main()메소드를 활용하는 것이다.   - 실제 서비스를 담당하는 프로덕션 코드와 이 프로덕션 코드가 정상 동작 하는지 확인을 위한 main() 으로 나뉜다.   - 이 방법의 첫번째 문제점은 프로덕션코드와 main() 메서드가 함께 있다는 것이다.   - 프로덕션 코드와 테스트코드(main)을 분리할 수 있다.   - 두 번째 문제는 내가 구현하고 있는 메서드만 집중 할 수 없고,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모든 메서드를 테스트 할 수 밖에 없다.   - 다른 문제는 항상 콘솔로 확인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 이를 위해 등장한 라이브러리가 JUnit 이다. 내 관심을 가지는 메서드에 대해 테스트 가능하다. 2. JUnit을 활용해 main() 메서드 문제 극복 2.1 한 번에 메서드 하나에만 집중.   - JUnit관련 라이브러리 추가 후  테스트 메서드에 @Test를 붙이면 된다.   - test 관련 코드 작성 후 Run > Run as> JunitTest를 실행해 보자.   - 각각 테스트 메서드를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내가 구현하고 있는 프로덕션 코드의 메서드에 집중할 수 있다.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CalculatorTest { @Test public void add() { Calculator cal = new Calculator(); System.out.println(cal.add(1,2)); } } 2.2 결과 값을 눈이 아닌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화 import org.junit...

[스프링부트2.0 낚시게시판] 01.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을 세팅해 보자

첫번째.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 빠밤! 1. 이클립스 실행하고 프로젝트 생성하기  - 이클립스 실행 후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클릭 ( 부트는 Spring Starter Project로!! )        해당 프로젝트 설정을 본인의 입맛에 맞게? 해주자. 처음엔 저와 똑같이 하는게 삽질(?)의 노고를 덜 수 있으니 저 같은 초보 개발자 분들이나 이제 막 공부를 시작 하셧다면 위와 가이 설정 하는걸 추천.  - New Spring Starter Project Dependencies    - Spring Boot Version : 2.0.2    - Core : DevTools, Security, Lombok 클릭    - Web : web  클릭    - SQL : JPA, H2 클릭    - template Engines : Mstache   --> 타임리프(요즘 회사에서 많이 쓴다고해서)   - 그다음 다음 -> Finish 클릭하게 되면 Maven에 관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처음엔 메이븐 디펜던시부분을 받느라 시간이 걸릴수 있다. 프로젝트 구조는 스프링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프로젝트 구조 관련해선 조만간 포스팅 해봐야 겠다. (요즘 책 읽을 시간도 없어서...😂) 두번째. 실행을 해보자.  스프링 부트2.0의 특징은 자체적으로 톰켓이 내장 되어 있어 따로 톰켓을 설정하는 부분이 없어서 아주 매우 편안하게 되었다.    - 실행은 src/main/java 밑에 com.fishing.board 패키지 밑에 FishBoardApplication.java 오른쪽 클릭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