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Blocking Method와 ThreadPool

Blocking Method

 블로킹 메서드는 다른 쓰레드로 제어권을 양도 하지 않고, 할당된 Task가 완료될 때까지 제어권을 넘겨주지 않으려 할 때 사용 하는 메서드 이다.

 Java에서 대표적인 블로킹 메소드는 InputStream 클래스의 read()와 ServerSocket 클래스의 accept()가 있다.

단점

  - 블로킹 메서드의 단점 중 하나는 무한 대기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대기중인 다른 쓰레드가 살행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Blocking I/O

  - java에서  블로킹 소켓은 ServerSocket, Socket 두 가지 클래스를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 연결 요청시 서버는 accept하고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소켓을 새로 생성하는데 이 때 해당 메서드가 완료되기 전까지 스레드에 블로킹이 된다. 
  - 클라이언트가 연결된 소켓으로 서버에 데이터 전송시 서버는 read를 호출하고 다 읽을 때 까지 스레드가 블로킹 된다. 
blocking io model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병렬처리 문제

  - 데이터 입출력에서 스레드의 블로킹이 발생해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에 대한 처리가 불가하다.
  - 이를 해결위해 연결된 클라이언트 별로 각자 쓰레드를 할당하는 방법이 있다.
  - 클라이언트 접속요청 오면 서버는 새로운 스레드를 하나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I/O 처리를 넘겨준다.
  - 동시 요청은 해결되었으나, 동시 접속으로 인한 스레드 생성, 할당, 제거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 또한 계속되는 스레드 생성은 힙 메모리의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스레드 풀(Thread Pool)

   - 스레드 증가로인한 메모리 부족을 피하기 위해 일정개수의 스레드를 풀에 미리 생성한다.
  -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일단 작업 큐에 들어가게하고, 스레드 풀에서 스레드를 할당 받는다.
  - 스레드풀 사용시 스레드 생성, 제거에 대한 오버해드가 사라지고 동시접속을 처리할 수있다.
  - Java 에서는 java.util.concurrent.Executors에서 스레드 풀을 제공한다.
    1) newFixedThreadPool
      - parameter로 주어진 스레드 개수만큼 스레드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 종료까지 유지한다.
    2) newChachedThreadPool
      - 처리할 작업이 많아지면 스레드를 증가하여 생성한다.
      - 놀고있는 스레드가 많다면 해당 스레드를 종료한다.
      - 스레드 개수를 유동적으로 조절. But 스레드가 많아지면 메모리 부족이 발생할 수도 있다.
    3) newSingleThreadExecutor
      - 스레드를 하나만 생성해 스레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하나의 스레드를 다시 생성한다.
    4) newSheduledThreadPool
      - 스레드와 관련된 작업을 특정 시간 이후에 실행되거나 주기적으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스레드 풀을 생성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량주] 라오왕 연태고량주 플러스

나에게 처음 고량주란 이런것이다 라는걸 알려준 녀석이다. 부모님이 중국집을 하다 보니 가끔 초록색병 고량주를 먹었을때  역한 공업용 알콜 맛에 고량주는 나랑 안맞는다 생각했다가 우연히 양고기에 이녀석을 접한 뒤로 고량주의 맛을 알아버렸다... 제품명 : 라오왕 연태고량주플러스 제품유형 : 일반증류주 도수 : 34.2% 가격 : 9000원(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기준) 재구매 의사 : 있다 시음평 : 역시 고량주 특유의 향인데, 열대과일 향도나고, 배향, 살짝 달달한 향이 난다.            목넘김은 34.2%에도 불구하고 그리 힘들지 않았다(주당이 된걸수도..)             중국요리나 양꼬치집에서 맛있는 술이 땡긴다면 강력추천한다.

윈도우 트랙패드로 데트스탑화면 전환

코딩 작업용으로 맥북 트랙패드 사용하다 윈도우에서 마우스 없이 트랙패드로만 사용하려니 이것저것 만지다가 새로운 기능을 발견했다. 1. 새로운 데스크 탑을 만드는 2가지 방법   1) 바탕화면에서 'ctrl' + '윈도우' + 'd'      - 세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새로운 데스크톱 화면이 생성된다.      2) 트랙패드에서 손가락 세개를 사용해 위 방향으로 스크롤      -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우측 하단에 '새 데스크톱'을 클릭하면 추가가 된다. 2. 트랙패드로 데스크톱 화면을 이동하는 2가지 방법   1) 'ctrl' + '윈도우' + 방향버튼(<-(좌) , ->(우))     - 위 버튼을 누르게 되면 데스크톱 화면이 전환이 된다.   2) 트랙패드에서 손가락 네개를 이용해 좌우로 이동     - 위와 같이 데스크톱 화면이 전환이 된다.   3) 세손가락으로 화면 전환은 안될까??     - 곰손인 내가 아기자기한 씽크패드13 같은 트랙패드가 작은 것에서 손가락 4개로 화면전환은 불편함이 있다.😥     -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으로 데스크톱 화면을 전환 할 수 있다.       1>'윈도우키' --> '설정'  --> '장치' --> '트랙패드' --> '세손가락제스처'     - 손가락 제스처 콤보박스를  '바탕화면 전환 및 바탕화면 표시' 로 바꿔주면 손가락 세개로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면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속설(??)이 있어서 최근 마우스를 사용하려 하지 않으려고 한다. 윈도우에서도 이런 꿀팁을 발견하게 되어 개발에 한층 더 집중 할...

[스프링부트2.0 낚시게시판] 01.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을 세팅해 보자

첫번째.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 빠밤! 1. 이클립스 실행하고 프로젝트 생성하기  - 이클립스 실행 후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클릭 ( 부트는 Spring Starter Project로!! )        해당 프로젝트 설정을 본인의 입맛에 맞게? 해주자. 처음엔 저와 똑같이 하는게 삽질(?)의 노고를 덜 수 있으니 저 같은 초보 개발자 분들이나 이제 막 공부를 시작 하셧다면 위와 가이 설정 하는걸 추천.  - New Spring Starter Project Dependencies    - Spring Boot Version : 2.0.2    - Core : DevTools, Security, Lombok 클릭    - Web : web  클릭    - SQL : JPA, H2 클릭    - template Engines : Mstache   --> 타임리프(요즘 회사에서 많이 쓴다고해서)   - 그다음 다음 -> Finish 클릭하게 되면 Maven에 관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처음엔 메이븐 디펜던시부분을 받느라 시간이 걸릴수 있다. 프로젝트 구조는 스프링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프로젝트 구조 관련해선 조만간 포스팅 해봐야 겠다. (요즘 책 읽을 시간도 없어서...😂) 두번째. 실행을 해보자.  스프링 부트2.0의 특징은 자체적으로 톰켓이 내장 되어 있어 따로 톰켓을 설정하는 부분이 없어서 아주 매우 편안하게 되었다.    - 실행은 src/main/java 밑에 com.fishing.board 패키지 밑에 FishBoardApplication.java 오른쪽 클릭 후...